아들아 목숨이 경각인 아들아 칼이든 총이든 당당히 받아라 시로 읽는 여성독립운동가 20인 ≪서간도에 들꽃 피다≫ 출간
이 어미 밤새 / 네 수의 지으며 / 결코 울지 않았다 /사나이 세상에 태어나 / 조국을 위해 싸우다 죽는 것 / 그보다 더한 영광 없을 지어니 / 비굴치 말고 / 당당히 / 왜놈 순사들 호령하며 생을 마감하라“
안중근 의사 어머니 조마리아 애국지사는 그런 마음으로 사형수 아들의 수의를 지었을 것이다. “아들의 죽음을 앞둔 어미의 심정이 어찌 흔들리지 않았으랴! 그러나 조마리아는 결코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안중근은 그런 어머니의 꺾이지 않는 정신을 배웠던 것이다. 평소 백범 김구 어머니인 곽낙원 여사와 우애 좋게 지내던 조마리아 여사는 곽낙원 여사가 김구에게 엄하게 대했던데 견주어 아들 안중근에게 평소 자애로운 어머니로 알려졌다. 그러한 어머니가 자식의 마지막 가는 길에서는 매우 단호한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위 시와 조마리아 애국지사에 대한 설명글은 민족시인으로 알려진 이윤옥 씨가 써서 “도서출판 얼레빗”을 통해서 펴낸 ≪서간도에 들꽃 피다≫에 있는 내용이다.
이윤옥 시인은 시집 머리말에서 자신이 출강하는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여성독립운동가를 아는 대로 써보라고 했더니 거의 백지로 냈더라고 했다. 이에 충격을 받은 이 시인은 여성독립운동가를 온 국민에게 알려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수많은 자료를 찾아 이 시집을 내게 되었다고 술회한다. 현재 보훈처 기록에 훈포장을 받은 여성 애국지사는 202명인데 이분들은 남성 애국지사에 견주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고 이 시인은 머리말에 쓰고 있다. 이 시집에서 시인은 춘천의 여성의병장 윤희순, 임신부의 몸으로 평남도청에 폭탄을 던진 안경신, 손가락을 잘라 혈서를 쓴 남자현, 안동의 독립운동가 3대를 지키고 그 자신 만세운동으로 잡혀가 두 눈을 잃었던 김락 애국지사를 비롯한 스무 명의 여성독립운동가를 추모하는 시와 삶의 여정을 잔잔하게 그리고 있다.
이윤옥 시인은 이 시집을 내려고 중국의 임시정부 피난길인 상하이, 꽝쩌우, 류쩌우 창사 등지는 물론이고 부산, 나주, 안동, 춘천 등지의 생가나 무덤을 직접 발로 뛰었으며 인천, 수원 등에 생존해 계시는 여성독립운동가를 찾아가 만나 보는 등 현장감 있는 모습을 시집에 담고 있다. 이 시인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으려고 서간도의 살을 에는 북풍한설을 견디며 풍찬노숙을 마다한 여성독립운동가들이 어찌 이들뿐일까? 이 작업은 계속된다.”라고 밝힌다. ≪서간도에 들꽃 피다≫ 속에 한 수 한 수 써내려간 시들은 올해로 66주년을 맞이하는 8·15 광복절을 앞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