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현장, 동바리 없었다"…사고 부른 부실공사 정황 드러나나
모 건설사 자체 분석 보고서 "양생 완료 판단, 서포트 제거 추정"
전문가들 "서포트 미설치 정황은 부실시공 증명하는 중요한 증거"
광주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신축 아파트 붕괴가 부실 공사로 인해 발생했음을 의심케 하는 추가 정황이 나왔다.
붕괴사고 후 남은 아파트 구조물을 살펴본 결과 하중을 견디는 동바리(비계기둥) 등 서포트가 애초부터 설치되지 않았고, 콘크리트 양생이 불량했음을 의미하는 정황들이 다수 발견됐다.
15일 A 건설사가 현산 아이파크 붕괴사고 이후 작성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붕괴사고 원인은 타설 하중에 대한 하층부 슬래브의 지지력 부족 탓으로 추정된다.
붕괴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최상층인 39층 바닥 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었는데, 그 바로 아래는 설비 등 배관이 들어가는 공간인 'PIT' 층이 있고 그 아래 38층 거실 공간이 있는 구조다.
사고원인을 분석한 A 건설사 측은 시공 하중을 받는 PIT 층 슬라브가 버틸 수 있는 힘을 초과한 탓에 붕괴사고가 난 것으로 봤다.
분석 자료에 첨부된 설계도상으로는 슬라브의 높이가 균일한 다른 층과는 달리, 39층 슬라브는 높이차가 약 3개 정도로 나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더욱 신중한 하중 보강이 필요해 보인다.
즉 39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하중을 아래 PIT 층이 버틸 수 있는 무게를 초과해, 동바리 등 서포트를 충분히 설치했어야 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사고 후 남아있는 구조물의 현장 사진을 근거로 A 사는 "기술적 판단 미비로 서포트를 철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봤다.
실제로 연합뉴스가 취재한 사진에도 슬라브 등 구조물이 붕괴하고 남아있는 38층을 비롯한 아래층 모두에서 동바리나 서포트의 모습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A 건설사 측은 "이는 PIT층 바닥 슬래브를 완료한 후 방수·설비 배관작업으로 양생을 모두 완료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38층 부분에 동바리와 벽체 거푸집이 없는 것도 "양생 완료 판단으로 제거한 것으로 추정"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부실시공을 암시하는 정황도 다수 발견됐다.
붕괴 후 남아 있는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껍질이 벗겨지듯 남아 있는 모습은 "슬래브 상층 면(윗부분)이 동결 가능성을 추정케 한다"는 것이 A사의 분석이다.
또 가시처럼 남은 철근의 모습으로 봤을 때 슬래브 강도 발현 부족으로 철근 부착력이 상실됐음이 엿보였다.
광주대 건축학부 송창영 교수는 "A사의 분석이 설득력이 있다"며 "해당 아파트의 사고 구간은 레벨(높이) 차이가 큰데, 이런 경우에는 높이차가 나는 부분에 하중이 더 크게 작용해 서포트를 더욱 꼼꼼하게 설치해야 한다"며 "그러나 하층 잔존 부의 사진 등을 봤을 때는 서포트 설치가 부실했거나, 아래층은 아예 설치하지 않았음이 엿보인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이는 결국 붕괴사고의 원인이 동바리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는 등 부실시공에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어 의미 있는 분석이다"고 봤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도 "사진으로만 봐도 하층 동바리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기존 시공을 제대로 했다는 현산 측의 해명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정황이다"고 밝혔다.
동바리 등 서포트 미설치에 대한 HDC현대산업개발 측의 해명을 요구했지만, 현산 측은 "사고 당시 상황은 파악하기 어려워 답변할 수 없다"며 "정부 기관과 경찰의 조사가 시작된 만큼 사고 원인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입장만 밝혀왔다.
전문가들 "서포트 미설치 정황은 부실시공 증명하는 중요한 증거"
붕괴후 남아있는 구조물 '동바리 없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광주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신축 아파트 붕괴가 부실 공사로 인해 발생했음을 의심케 하는 추가 정황이 나왔다.
붕괴사고 후 남은 아파트 구조물을 살펴본 결과 하중을 견디는 동바리(비계기둥) 등 서포트가 애초부터 설치되지 않았고, 콘크리트 양생이 불량했음을 의미하는 정황들이 다수 발견됐다.
15일 A 건설사가 현산 아이파크 붕괴사고 이후 작성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붕괴사고 원인은 타설 하중에 대한 하층부 슬래브의 지지력 부족 탓으로 추정된다.
붕괴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최상층인 39층 바닥 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었는데, 그 바로 아래는 설비 등 배관이 들어가는 공간인 'PIT' 층이 있고 그 아래 38층 거실 공간이 있는 구조다.
사고원인을 분석한 A 건설사 측은 시공 하중을 받는 PIT 층 슬라브가 버틸 수 있는 힘을 초과한 탓에 붕괴사고가 난 것으로 봤다.
분석 자료에 첨부된 설계도상으로는 슬라브의 높이가 균일한 다른 층과는 달리, 39층 슬라브는 높이차가 약 3개 정도로 나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더욱 신중한 하중 보강이 필요해 보인다.
즉 39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하중을 아래 PIT 층이 버틸 수 있는 무게를 초과해, 동바리 등 서포트를 충분히 설치했어야 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사고 후 남아있는 구조물의 현장 사진을 근거로 A 사는 "기술적 판단 미비로 서포트를 철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봤다.
실제로 연합뉴스가 취재한 사진에도 슬라브 등 구조물이 붕괴하고 남아있는 38층을 비롯한 아래층 모두에서 동바리나 서포트의 모습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A 건설사 측은 "이는 PIT층 바닥 슬래브를 완료한 후 방수·설비 배관작업으로 양생을 모두 완료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38층 부분에 동바리와 벽체 거푸집이 없는 것도 "양생 완료 판단으로 제거한 것으로 추정"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부실시공을 암시하는 정황도 다수 발견됐다.
붕괴 후 남아 있는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껍질이 벗겨지듯 남아 있는 모습은 "슬래브 상층 면(윗부분)이 동결 가능성을 추정케 한다"는 것이 A사의 분석이다.
또 가시처럼 남은 철근의 모습으로 봤을 때 슬래브 강도 발현 부족으로 철근 부착력이 상실됐음이 엿보였다.
광주대 건축학부 송창영 교수는 "A사의 분석이 설득력이 있다"며 "해당 아파트의 사고 구간은 레벨(높이) 차이가 큰데, 이런 경우에는 높이차가 나는 부분에 하중이 더 크게 작용해 서포트를 더욱 꼼꼼하게 설치해야 한다"며 "그러나 하층 잔존 부의 사진 등을 봤을 때는 서포트 설치가 부실했거나, 아래층은 아예 설치하지 않았음이 엿보인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이는 결국 붕괴사고의 원인이 동바리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는 등 부실시공에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어 의미 있는 분석이다"고 봤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도 "사진으로만 봐도 하층 동바리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기존 시공을 제대로 했다는 현산 측의 해명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정황이다"고 밝혔다.
동바리 등 서포트 미설치에 대한 HDC현대산업개발 측의 해명을 요구했지만, 현산 측은 "사고 당시 상황은 파악하기 어려워 답변할 수 없다"며 "정부 기관과 경찰의 조사가 시작된 만큼 사고 원인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입장만 밝혀왔다.
붕괴사고 현장, 동바리 등 서포트 제대로 설치했나
[연합뉴스 자료사진]
꼭대기층 붕괴 직전 영상 보니…원인 규명 열쇠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