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시민방송뉴스통신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시민방송 기자 simintv@simintv.net 우리 위성이 찍은 안드로메다 은하 모습은? 철도 경영혁신 바로알기 15문 15답... “최장 철도 파업에 산업계 피해 1조원 이상” “일에 열정 가진 분들을 환영합니다” “동네서 원격의료 받으니 참 좋아” 산타가 된 박 대통령…아동양육시설 찾아 성탄 선물... 제주해녀문화, 2015년 인류무형유산 등재 추진 문화재위원회 무형문화재분과위원회는 지난 19일 제7차 회의를 열고 제주해녀문화를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 대상 신청종목으로 선정했다고 문화재청이 20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제주해녀문화가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우리의 대표적인 무형유산이므로 문화재위가 등재 대상 신청종목으로 선정했다면서 “또 최근 일본 해녀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추진 등 정부, 공직자 비상대비태세 특별점검 실시 정부, 공직자 비상대비태세 특별점검 실시 복무규정 위반·국가기반시설 관리실태·비리행위 등 중점 정부가23일부터 공직자 비상대비태세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정부는 최근 급변하고 있는 북한정세에 철저히 대응하고 연말연시와 세종시 2단계 정부이전 등으로 자칫 해이해지기 쉬운 공직사회의 기강을 철저히 확립하기 위해 특별점검을 실시하게 됐다. 이번 점검에서는 근무 중 무단 이석, 허위 출장 등 복무규정 철도파업 15일째…열차 운행률 76.1%..... 철도파업 15일째…열차 운행률 76.1% 파업참가율 37.5%로 약간 감소 철도노조 파업이 보름째 이어지면서 열차운행률이 평상시의 76.1%로 낮아진다. 국토교통부는 열차 안전운행을 위해 23일부터 평시대비 KTX가 73%, 일반열차(새마을 등) 61.2%, 수도권 전철은 85.3%로 운행된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6시를 기준으로 KTX는 86.7%, 일반열차 58.3%, 수도권 전철 89. 전국 16개 시·도중 개인소득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 1위, 서울 2위…통계청, 지난해 지역소득 조사 결과 발표 지난해 16개 시도의 지역소득 조사 결과 서울과 울산이 1인당 지역내총생산,지역총소득,개인소득,민간소비 등 전 분야에서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지역의의 경우1인당 지역내총생산 수준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으나, 1인당 지역총소득 수준은 전국 평균보다 내년 4월 25일부터 수직증축 리모델링 가능 내년 4월 25일부터 수직증축 리모델링 가능 -15층 이상 아파트는 최대 3층, 14층 이하는 2층까지 내년 4월 25일부터 15층 이상 공동주택은 최대 3개 층, 14층 이하는 최대 2개 층까지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가능해진다. 또 층간소음 저감 규정이 신설되고 외부 회계감사 의무화 및 비리자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는 등 아파트 관리제도가 개선된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택법 시 박 대통령 “설 명절에 순수 서민생계형 범죄 특별사면” 수석비서관회의 주재…“신년기자회견서 신년구상·어젠다·정책 방향 제시”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열린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은 23일 “부정부패와 사회지도층 범죄를 제외하고 순수 서민생계형 범죄에 대한 특별사면을 고려하고 있다”며 “내년 설 명절을 계 내년 1월부터 ‘규제일몰제’ 전면 시행 내년 1월부터 ‘규제일몰제’ 전면 시행 총 1814건 2~5년 재검토 기간 설정 후 존속여부 평가 규제에 대해 존속기한 또는 재검토기한을 미리 설정해 규제의 존속여부를 주기적으로 평가·검증하는 제도인 ‘규제일몰제’가 내년 1월부터 전면 시행된다. 국무조정실은 현존하는 규제 1814건에 대해 2~5년의 재검토 기간을 설정하고,기한이 도래할 경우엄정한 심사를 통해 규제를 폐지 또는 완화하게 하는개선조 부동산 민원서류 집 근처 주민센터서 발급 부동산 민원서류 집 근처 주민센터서 발급 FAX로 받던 불편·시간 부담 해소 국토교통부는 그동안 팩스(FAX)로 받아보던 타 지역의 토지 및 부동산, 도시계획 관련 민원서류를 24일부터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바로 발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실시한다. 국토부는 ‘토지이용계획확인서’, ‘지적도등본’, ‘개별주택가격확인서’ 등을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발급했다. 하지만 인터넷 <<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