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시민방송뉴스통신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이명숙 기자 skadhsdb@naver.com 남양주시장애인복지관, 2년 연속 중증장애인지원고용사업 우수기관 선정 부천시, 지난해 부천페이 2천720억원 발행…목표 대비 120% ↑ 신상진 성남시장, 판교 AI 반도체 R&D 허브 조성 정부 발표 환영 시흥시, ‘국민취업지원제도’ 업무협약 통해 취업특화 서비스 일원화 구리시, 녹물 없는 우리 집 수도관 개량 사업 추진 고양특례시, 법무부 출입국·이민관리청 유치 본격화 구리시, 구리시장과 함께하는 ‘2024년 시민과의 대화’ 추진-기사등록 2024.1.17 이명숙 기자-백경현 구리시장은 2024년 갑진년을 맞아 각계각층 시민들의 애로 및 건의 사항을 수렴하고 시정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구리시장과 함께하는 2024년 시민과의 대화’를 1월 16일부터 19일까지 실시한다.이번 시민과의 대화는 16일 갈매동과 동구동을 시작으로, 17일 교문1동과 인창동, 18일 교문2동과 수택1동, 19일 수택 남양주시, 화도행정복지센터 앞 교차로 개선 추진 -기사등록 2024.1.17 이명숙 기자-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지난해에 이어 쾌적하고 안전한 도로 환경 조성을 위해 교통사고가 잦은 곳에 대한 개선사업을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남양주시와 도로교통공단, 남양주경찰서, 경기도가 합동으로 사고원인을 심층 분석하고, 도로구조 및 교통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수립해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추진하 보건복지 전문인력 양성 및 다(多)학문 분야 전문가 자문협력을 위한남양주시-삼육대학교 관학 협약 체결-기사등록 2024.1.16 이명숙 기자-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지난 15일 시청 여유당에서 삼육대학교(총장 김일목)와 보건복지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및 다(多)학문 분야 자문을 위한 관학 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주광덕 시장과 김일목 총장이 양 기관을 대표해 업무협약서에 서명했으며 ‘2024년 수원 시민안전보험’, 상해 의료비 보장지역 전국으로 확대상해사고 장례비 2000만 원 한도 지원 추가-기사등록 2024.1.15 이명숙 기자-2024년 ‘수원 시민안전보험’의 상해 의료비 보장 지역이 전국으로 확대된다. 상해사고로 사망하면 장례비를 최대 2000만 원 지원한다.수원시가 예기치 못한 화재, 안전사고 등을 당한 수원시민(등록 외국인·거소 동포 포함)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2024년 수원시민 안전보험’ 이동환 고양시장, 새해 첫 월례조회-기사등록 2024.1.15 이명숙 기자-- 자족도시, 출퇴근교통, 노후도시, 안전망, 새해 주요과제로 꼽아-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한국 미술의 아이덴티티, 국토 박물관 순례’특강- 이 시장“시민과 약속한 고양성공시대, 시민행복시대 만들겠다”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12일 2024년 첫 월례조회에서 민선8기 시민과 약속했던 ‘고양성공시대 시민행복시대’를 열기 위한 2024년 최우선 역점사업들 고양특례시, 경기도와 ‘접경지 민방위경보시설’ 합동 점검 실시-기사등록 2024.1.15 이명숙 기자-- 北 도발 등 대비 접경지역 경보시설 담당 임무 중점 점검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최근 고조되는 북한의 군사도발 위협에 대비하여 경기도와 합동으로 11일 덕이동 일원을 찾아 민방위 경보시설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양시 전역은 접경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이 날 현장점검에서는‘접경지역 읍·면·동 민방공 경보발령 운영 규정’에 규 고양특례시, 냉동 난자 사용 시술비 1인당 최대 200만원 지원-기사등록 2024.1.12 이명숙 기자-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저출산 위기 극복과 난임 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올해부터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올해부터는 모든 난임부부를 대상으로 소득과 거주기간과 관계없이 난임 시술비 지원이 확대된다.우리나라 평균 결혼 연령과 출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임신, 출산의 고양특례시, 독감·코로나19 동시유행.. 백신 접종 권고-기사등록 2024.1.12 이명숙 기자-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 일산동구보건소는 최근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 유행하고 있는 상황과 관련해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와 적극적인 백신접종을 당부했다.2023년 12월 말 기준 60세 이상 주간 코로나19 양성자수가 다시금 증가 추세로 전환됨에 따라, 특히 독감이나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 및 사망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 고령층 <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