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토요일)

회원가입

“WTO 개도국 특혜 유지 근본고민 필요…국익 최우선 대응”

  • [시민방송뉴스통신]
  • 입력 2019-09-20 16:11
  • |
  • 수정 2019-09-20 17:38
  • |
  • 조회수 1,415회
글자크기

          “WTO 개도국 특혜 유지 근본고민 필요국익 최우선 대응

홍 부총리 쌀 관세화 협의, 합의 마무리 단계513% 관세율 유지

인도네시아 등 3국과 FTA 연내 조속타결 추진아세안 국가와 협력 강화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세계무역기구(WTO)에서 다른 개발도상국들이 우리나라의 개도국 특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앞으로 개도국 특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국익을 최우선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대외경제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개도국 특혜는 향후 국내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으로 매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함을 유지하면서 3가지 원칙 하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3 가지 원칙은  국익을 최우선으로  우리 경제 위상 대내외 동향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 모든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철저하게 따져보고  농업계 등 이해당사자와 충분한 소통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것이다 .

홍 부총리는 현재 WTO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도국 특혜 이슈는 해당 국가들이 기존 협상을 통해 확보한 특혜를 포기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WTO 협상에서 개도국 특혜를 적용받을 수 있을 지에 관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논의 중인 WTO 농업협상은 없고 당분간 예정된 협상도 없어 우리의 경우에 농산물 관세율이나 WTO 보조금 규모 등 기존의 혜택에 당장 영향은 없다마무리 단계에 있는 쌀 관세화 검증 협상결과도 영향을 받지 않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쌀 관세화 협의 관련해서는 정부는 5개국과 협의를 진행해 현재 합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으며, 국가별 쿼터(CSQ)가 기존 저율할당관세물량(TRQ/40.9만톤) 내에서 배분됐고 기존 513% 쌀 관세율도 유지되므로 우리 농업에 추가적인 부담은 없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합의서 서명 등 후속절차를 진행해 쌀 관세화 검증작업을 조속히 마무리하는 한편, TRQ 협상결과 및 향후 운영계획 등에 대해 농업인 단체에 자세히 설명하는 등 적극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글로벌 통상규범 동향 및 대응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제와 연관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WTO 체제의 유지·강화와 역내무역체제 가입이 불가피한 만큼 국내제도를 글로벌 통상규범에 부합하도록 선제적으로 개편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산보조금 제도, 국영기업 지원, 위생검역 강화, 전자상거래 제도 등의 4가지 분야에 대해 글로벌 논의동향과 우리의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 앞으로 WTO,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메르코수르 무역협정 등의 협상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와함께 홍 부총리는  “신북방 ·신남방 정책의 가속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11 월 한 -아세안 (ASEAN) 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3 개국과의  FTA 를 최대한 연내 조속한 타결을 추진해 신남방 정책의 파트너인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해나가는 계기로 삼겠다 고 덧붙였다 .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만원
  • 3만원
  • 5만원

정종철 기자 system819@naver.com

<저작권자 © 시민방송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종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정치더보기

조달청, 집중호우에 따른 비상점검체계